작은 것에도 화를 내는 아이, 당신은 어떻게 분노조절을 도와줄 수 있을까요?
아이가 화를 자주 내나요? 아이가 작은 일에도 짜증을 내나요?
아이가 분노조절이 잘 안 되나요? 덩달아 당신도 화가 나나요?
당신은 아이의 분노조절을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1. 당신의 감정을 잠깐 정지시키세요.
아이가 화를 내거나 소리를 지르거나 할때, 대부분의 엄마들은 당황하고 그 상황이 빨리 멈추기를 바랍니다. 그래서 그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당신은 화가 납니다. 만약 아이가 화를 내는 장소가 공공장소라면 당신은 다른 사람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고 창피한 마음이 들기 때문에 더욱 화가 날 것입니다. 당신의 감정이 화가 난 상태이기 때문에, 아이의 분노조절을 해줄 수 있는 마음 상태가 되지 못합니다.
"왜 네가 화를 내니? 그만하지 못해? 시끄러워 조용히 해! 너는 사람들 많은 것 안 보여? 창피하게 왜 그래?
계속 그렇게 화내고 소리지르면 혼날 줄 알아!" (X)
당신의 감정이 흔들리는 한, 아이가 왜 그렇게 화가 나는지 이해할 마음의 여유가 생기지 않습니다. 당신은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줄 수 없습니다. 당신은 아이 입장에서 생각해볼 수도 없습니다. 아이에게 왜 화를 내냐고 비난하거나, 무조건 그만하라고 명령하기 쉽습니다. 아이에게 계속 화를 내면 혼내줄거라고 협박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아이가 분노조절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은 어렵습니다.
그래서 아이가 화를 내면, 당신 자신의 감정부터 잘 조절해야합니다.
당신은 당신의 감정이 화나지 않도록 당신의 감정을 어떻게 정지시킬 수 있을까요?
상황에서 물리적으로, 심리적으로 조금 멀리 떨어져보세요.
물리적으로 거리를 두고 떨어진다는 것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가 계속 분노를 조절하지 못할 때 물리적 공간을 달리하여 당신이 잠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당신이 화가 나지 않아야 아이의 분노 조절을 도와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화가난 당신의 아이로 인하여 당신이 화가 난다면 아이가 있는 곳에서 다른 공간으로 잠시 이동하세요.
심리적으로 거리를 둔다는 것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신의 아이를 생각하는 마음에 냉철하게 거리를 두는 것을 말합니다. 잘 생각해보세요. 길거리에서 울고 떼를 부리는 아이를 보며 당신은 화가 나세요? 다른 사람의 아이가 화를 내고 말썽을 부린다고 해서 당신이 화가 나세요? 아마 당신은 그렇지 않을거에요.
그런데 왜 당신은 당신의 아이가 화를 내고 짜증을 부리면 화가 나는 것일까요? 당신의 아이이기 때문에, 당신이 아이에 대한 객관성을 잃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당신은 당신의 아이가 착했으면 좋겠고, 말도 잘들었으면 좋겠고, 다른 아이들보다 더 훌륭하게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 때문에 그렇습니다.
또다른 이유는, 당신의 아이가 화를 내고 떼를 부릴 때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당신이 아이를 잘 다루지 못하는 무능력한 엄마로 보이는 것이 싫고 창피하기 때문입니다. 당신은 그러한 마음에서 자유로워질 필요가 있습니다.
당신의 마음이 평온해질 때까지 당신은 음악을 듣거나 좋은 사진을 보면 좋습니다. 당신이 짧은 시간에 기분이 나아질 수 있는 무엇인가를 준비해두시면 좋습니다.
2. 아이가 화를 건강하게 표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어른들도 분노 조절이 어려운 순간들이 많이 있습니다. 아이들이 화가 잔뜩 나는데, 그것을 참는다는 것은 정말 힘든 일입니다. 아이들의 분노는 표출되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셨으면 좋겠어요. 우리나라에서는 부정적 감정을 표출하는 것에 대하여 관대하지 못합니다. 우리는 그렇게 자라왔습니다. 하지만 당신이 당신의 아이가 마음이 건강한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감정을 잘 표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왜 이렇게 화를 내니? 그만해! " (x)
"너는 화가 많이 났구나. 네가 화가 많이 나서 나도 속상하다.
네 화가 풀릴 때까지 펀치백을 주먹으로 치렴.
네 화가 풀릴 때까지 박수를 세게 쳐보렴. 나는 네 마음이 진정되면 대화를 나누고 싶구나.
나는 너를 기다려줄거야. 그러니 네 마음이 진정되면 나에게로 오렴." (ㅇ)
아이가 부정적인 감정을 잘 표출해야 당신의 아이가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습니다. 분노조절이라는 것은 분노를 무조건 참는 것이 아니라, 건강하게 잘 표출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이에게 화를 내지 말라고 감정 표출하는 것을 막지 마시고, 좋은 방법으로 풀 수 있게 도와주세요.
분노의 감정을 다른 자극으로 대체하면 분노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당신이 무릎을 다쳐서 아플 때 손으로 문지르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당신이 아픔을 느낄 때 다른 자극을 주어, 당신의 뇌가 아픔을 덜 느끼게 하는 방법입니다.
당신의 아이가 화가 났을 때 펀치백이나 베게를 주먹으로 치거나, 그가 박수를 세게 치거나 손바닥으로 무엇인가를 칠 수 있게 해주세요. 그가 화가 난다고 해서 물건을 집어던지거나 자기 자신의 몸을 자해한다거나 다른 사람을 때리는 것은 건강한 표출이 아니기 때문에, 안전하게 표출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당신의 아이가 충분히 감정을 표출한 후 마음이 진정되면, 그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아이와 반드시 대화를 해야합니다. 그러한 과정이 아이가 성장해가는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3. 아이가 화가 난 이유를 아이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공감해주세요. 그 후에 행동수정을 해주세요.
아이의 마음이 진정된 후, 아이와 대화를 하세요. 그가 왜 화가 났는지, 무엇때문에 속상한건지 물어보세요.
"도대체 뭐가 화나는거야? 그것이 뭐가 화낼 일이야? 네가 뭘 잘했다고 울어? 아무것도 아닌 일에 화를 내는구나!" (x)
"너는 무엇이 그렇게 속상했니? 그랬구나. 그것이 너에게는 정말 속상한 일이구나. 너는 정말 속상했겠다.
너는 너의 분노를 잘 다스렸구나. 그 부분은 참 잘했어." (ㅇ)
행동수정에는 아이의 나이에 따라, 성별에 따라, 기질에 따라, 상황마다 다른 이야기가 나올 수 있어요. 그것에 맞게 적절한 이야기를 해주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블럭 쌓기 놀이를 하다가 와르르 무너지니까 너무 화가 났는지 아이가 블럭을 온 집안에 이리저리 힘껏 던져버리고 소리지르며 운다면 당신은 어떻게 하시겠어요?
"누가 이렇게 블럭을 다 집어던지니? 너는 정말 못된 아이구나. 네가 잘못해서 무너진 것을 왜 블럭 탓을 하니?
얼른 블럭을 치우거라! 그만울어!" (x)
"너는 블럭을 높이 높이 쌓고 싶었구나. 그런데 블럭이 무너져버리니까 너무 화가 났구나. 그렇지? 그래, 너는 너무 속상하겠다.
블럭을 더 높이 쌓을 수 있었는데 다 무너져버렸으니 너는 얼마나 화가 났을까? 그래서 너는 블럭이 미워졌구나. 나는 너를 이해해. " (ㅇ)
그렇게 말한 뒤 당신의 아이를 안아주면, 아이가 곧 마음의 안정을 찾을 거에요.
물건을 집어던지는 행동은 분명 잘못된 행동이지만 그것은 아이를 이해해주고, 공감해준 뒤 가르쳐주어도 늦지 않습니다. 블럭을 정리하는 일은 그 후에 함께 해도 늦지 않습니다.
우리에게 아무 것도 아닌 일이지만 아이 입장에서는 세상이 무너진 것처럼 속상한 일일 수 있어요.
만약 당신이 어던 일때문에 너무너무 속상한데, 누군가가 "뭐 그정도 일 가지고 그래?"라고 말한다면 당신은 어떤 기분일까요?
아이가 속상하다는 기준을 당신이 판단하지 마세요. 아이가 속상하면 그것은 속상한 거에요. 그것을 부정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아이의 입장에서 이해해주시고 공감해주세요.
그렇게 하면, 아이는 당신으로부터 사랑받고 있고 공감받고 있다고 느끼며 당신에게 신뢰와 애착이 잘 형성됩니다.
아이의 마음을 충분히 공감해준 뒤 이렇게 말해보세요.
"그런데 네가 화가 났다고 블럭을 던지면, 블럭은 얼마나 아플까? 블럭을 던졌는데 블럭이 깨져서 다시는 가지고 놀 수 없다면 너는 또 얼마나 속상하겠어? 화가 날때는 물건을 던지는 것은 좋지 않아.
대신 너는 펀치백을 주먹으로 세게 쳐볼래?
해봐. 어떠니? 기분이 좀 나아지니?
그래, 그럼 다음부터는 화가 날때 물건을 던지는 대신 이 펀치백을 주먹으로 세게 치자. " (ㅇ)
이런 방법으로 꾸준히 아이를 도와주면, 아이는 점점 자신의 화를 안전하게 표출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당신이 아이를 꾸준히 공감해주면, 아이는 당신이 아이의 편이라는 인식을 하게 되어 화를 내는 상황도 점차 줄어들게 됩니다.
다른 사람이 온전히 당신을 이해해주고, 그럴 수 있겠다고 공감해주고, 온전히 당신의 편이 된다면,
당신은 기분이 금새 나아지잖아요?
당신의 아이에게는 당신이 그런 사람이 되어주세요.
나는 당신을 응원합니다. 초록별마음
2018/12/30 - [내 마음 힐링] - 아이에게 화가 날때, 내 마음 먼저 알기
2019/02/02 - [아이 마음] - 아이가 "엄마 미워"라고 할때, 아이와 어떻게 대화할까
2019/01/29 - [아이 마음] - 아이가 울 때, "뚝! 뭘 잘했다고 울어?"해본적 있나요?
'아이 마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가 있는 아이, 마음 건강하게 키우는 법 (0) | 2018.12.05 |
---|---|
동생을 미워하는 우리아이, 사이 좋은 관계 만드는 법 (0) | 2018.11.28 |
엄마와 떨어지기 싫어하는 아이, 분리불안 없애는 법 (0) | 2018.11.22 |
동생이 생기는 첫째 아이, 마음 준비해주는 법 (1) | 2018.11.19 |
아침에 못 일어나는 아이, 평화롭게 깨우는 방법 (0) | 2018.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