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 교육, 학습

목적, 목표, 꿈, 진로, 장래희망... 자소서에서도 중요한 핵심은?

 


 새해를 맞아 아이에게 목표를 설정해주셨나요?

 아이가 공부를 더 잘하기를 원하세요?

 아이가 수행평가를 더 잘 보기를 원하세요?

 아이가 한글을 깨치고 연산을 잘하게 되기를 원하세요?


 새해가 시작되는 이 시점에서 깊이 한번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우리는 어쩌면 목적이 빠진 목표만을 설정하고 살고있지는 않은지 말입니다. 

 아이가 어떤 삶을 살기를 원하는지, 어떤 삶의 목적을 가지고 살기를 원하는지에 대해서 먼저 깊이 고민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목적과 목표를 비슷한 의미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엄밀히 이는 다른 것입니다. 

  목적은 영어로는 'purpose'로 '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을 말합니다.

  목표는 영어로는 'goal'이며, '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입니다.


  '목적'은 아이가 삶을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무엇을 위하여 살아가야 할지를 말합니다. 

그것을 위해 실제적으로 우리가 이루어야 하는 작은 단계, 단계들이 목표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당신의 아이가 어떤 삶을 살기를 바라세요? 

 부모의 역할은 아이가 이 세상을 살아갈 목적과 가치관, 삶의 방향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도록 아이 연령에 맞게 함께   이야기를 자주 나눠주시는 것이 아닐까요?

 아이가 원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 잘 하는 것과 못하는 것을 인생 선배로써 민감하게 알아차리고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 아닐까요?




 만약 목적은 없이, 의사라는 목표를 가진 아이가 커서 의사가 되었다면 이 아이는 목표는 이루었습니다. 

하지만 그 다음은요? 그 다음은 어떻게 살아야합니까? 

 그때부터는 무엇을 위해서 달려가야 할지 삶의 방향이 흔들릴 수 있습니다.

 의사만이 목표였던 아이는 더 높은 의사가 되려고 하거나, 더 돈을 많이 버는 의사가 되려고 하거나, 의사의 자리만을 지키는 데 온 힘을 다하며 살아갈 것입니다. 


  목표를 이루면 과연 우리 아이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걸까요?

 사회적 잣대에 의한 좋은 직업을 갖고, 돈을 많이 벌면 삶의 만족도 또한 비례하여 높아지는 걸까요?


 만약 '나는 누군가 아프면 마음이 아파. 그래서 다른 사람을 도와주면서 사는 사람이 되고 싶어'라는 목적을 가진 아이가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의사를 목표로 삼고, 의사가 되기 위해 의대를 더 작은 목표로 세우고,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공부한다면 동기부여도 자연스럽게 될 것입니다.

 이 아이는 목표하던 의사가 됐을 때, 그것이 끝이 아니고 목적을 이루는 시작이 될 것입니다.  

 



 그래서 목적이 먼저 명확하게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커다란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아이의 진로 선택에 있어서도 삶의 목적을 명확히 아는 것은 중요한 밑바탕이 될 것이고, 삶을 살아가는 긴 시간동안 끊임 없는 선택의 순간에도 흔들림 없이 삶의 목적에 부합하는 목표들을 세우며 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거에요.

 

 우리는 아이에게 목표는 자주 말해주고 있습니다. 

 공부해라. 좋은 대학 들어가라. 편하고 돈 많이 벌 수 있고 안정적인 직업을 갖어라. 

 하지만 목적은 깊이 생각해보지 않고 목적이 빠진 목표만을 강요하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볼 일입니다.

 사회가 말하는 잣대로 가장 좋은 대학에 들어가고, 좋은 직업을 갖고, 돈을 많이 벌면 아이는 행복한 삶을 사는 걸까요? 


 대학을 갈 때를 비롯해서 직장 취업을 할 때, 우리는 자기소개서(자소서)를 씁니다. 대부분의 자소서에 학생들은 목적과 삶의 가치관이 빠진 채, 목표만을 써내려갑니다. 

 고민고민해서 좋은 수식어를 붙여 자소서를 쓰지만, 입학사정관들에게는 이 학생이나 저 학생이나 비슷하기에 버려지는 내용이 되고맙니다. 




 자소서에 '나의 삶의 목적은 이것이다. 그것을 이루기 위해 어떤 목표를 세웠고, 거기에 부합되는 어떤 진로설정했다. 그 진로를 미리 경험하기 위해 연관된 어떠한 봉사활동을 했다. 그것을 통해 어떤 것을 느꼈다'라고 쓴다면 훨씬 더 진정성이 느껴집니다. 


 목적과 가치의 고민 없이 공부만 하다가 갑자기 자소서를 쓰거나나 면접을 볼 때  갑자기 삶의 원대한 목적이 세워지지는 않습니다.


 오늘은 아이와 함께 삶의 목적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어보세요. 

어색하고 어렵게 느껴지실지도 모르겠어요. 

그러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질문을 던져보세요. 여러가지 답을 생각해보고, 또 여러가지 꼬리를 무는 질문을 해보고 함께 생각도 해보세요. 우리가 놓치고 있었던 생각들도 있을 거에요. 

  

 공부 열심히 해서 성적을 올리자. 왜? 무엇때문에?

그래야 좋은 학교에 갈 수 있기 때문이지. 왜? 꼭 좋은 학교에 가야하는데?

너의 직업의 선택의 폭이 넓어져. 더 좋은 직업을 네가 선택할 수 있게 돼. 

 좋은 직업이란 것은 무엇일까? 편하고 안정되고 돈도 많이 버는 직업? 남을 도울 수 있는 직업? 

어떤 직업이 좋은 직업일까? 그런데 그 일은 왜 하는 걸까? 일은 꼭 해야하나?

 그 직업을 갖고 난 뒤에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뜻밖에 생각이 멈출지도 모릅니다. 말이 막힐지도 모릅니다. 

 생각보다 우리는 삶의 목적에 대해 깊이 고민해보지 못하고 바쁘게 열심히 살고 있습니다.

 참으로 치열한 경쟁 속에서 빠르게 움직이며 많은 것을 배우고 준비하며 살고 있는데, 궁극적으로 원하는 삶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당신은 아이가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어떤 가치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세요?

 아이가 어떻게 살아야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까요? 





 



 어떻게 살다 가는 것이 '정말 잘 살았다. 참 행복했다.'라고 말할 수 있는 삶인지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처음 뱃속에 아이가 생기고, 죽을 것같은 고통 속에 아이를 만났던 그 순간, 당신이 아이에게 어떤 삶을 바라셨는지 다시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그 삶의 방향대로 아이를 양육하고 계신지 다시금 점검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나는 당신을 응원합니다. 


 


 

2019/01/03 - [아이 교육, 학습] - 아이 방학 계획, 어떻게 세워야할까요?


2019/01/11 - [아이 교육, 학습] - "아기는 어디에서 나와?" 아이 성교육 해주는 법